농업과 세계사 1 |
|||||
---|---|---|---|---|---|
작성자 | 주재석 | 등록일 | 22.10.31 | 조회수 | 20 |
농업과 세계사 1대륙별 구석기 문화그레이엄 바커, 캔디스 가우처 편/류충기 역 | 소와당 | 2021년 07월 15일 | 원서 : Cambridge World History Vol. II 목차CHAPTER 1 서론: 농업 이후의 세계 CHAPTER 2 고유전학 CHAPTER 3 언어학적 근거를 통해 본 농업의 기원 CHAPTER 4 농업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였을까? -고생물학을 통해 본 건강과 음식 CHAPTER 5 공동체 CHAPTER 6 목축 CHAPTER 7 농업과 도시화 케임브리지대학교 디즈니 고고학 명예교수, 맥도날드 고고학연구소 교수, 세인트존스칼리지(케임브리지대학교) 교수. 저서로 《유럽 선사 시대 농업 혁명과 선사 시대 농법(The Agricultural Revolution in Prehistory and Prehistoric Farming in Europe)》(CUP, 1985)이 있다. 편 : 캔디스 가우처 (Candice Goucher) 워싱턴주립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저서로 《세계사: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여정(World History: Journeys from Past to Present)》(공저)이 있고, 멀티미디어 프로젝트 〈세계사의 연결 고리(Bridging World History)〉 공동 책임자이다. 역 : 류충기 서강대학교 및 동 대학원 졸업. 전문번역가. 옮긴 책으로는 『케임브리지 세계사 콘사이스』, 『폰 글란의 중국경제사』 등이 있다. 책소개 인류는 왜 갑자기 정착했을까? 무려 20만 년 이상 떠돌이 생활을 하던 인류가, 1만 2000년 전, 왜 갑자기 정착생활을 선택했을까? 20만 년 넘도록 할 줄 몰랐던 식물 재배나 동물 사육 기술을 어떻게 갑자기 배우게 되었을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고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과학자들이 분투하고 있다. 고유전학은 DNA와 동위원소를 분석하고, 고생물학은 토기에 묻어 있는 음식의 성분을 조사하며, 유골의 관절을 조사하여 생전의 노동을 추측한다. 역사언어학은 언어의 계통을 비교 분석하여 농업 관련 어휘의 역사를 추적한다. 그 결과 우리가 알지 못했던 새로운 신석기 시대의 모습이 드러나고 있다. 신석기는 단순히 구석기 시대가 발전하여 도달한 풍요의 시대가 아니었다. 오늘날의 신석기 연구는 생태 환경과 식량 사정 및 사회적 관습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려 한다. 요컨대 이 책은 신석기 연구의 새로운 경향과 방법론을 한눈에 보여주는 책이다. |
이전글 | 어느 고명한 외과 의사와 악명높은 국왕 |
---|---|
다음글 | 마취의 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