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농업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게시판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발명교실 게시판입니다.
궁궐의 우리 나무
작성자 주재석 등록일 24.10.18 조회수 8

 

 

 

 

궁궐의 우리 나무

 

109가지 우리 곁 나무와 친해지는 첫걸음 

[ 개정3판 ]

박상진 저 | 눌와 | 2023년 11월 27일

목차개정3판 머리말다시 개정판을 내면서 4
일러두기 10
Chapter 1【경복궁의 우리 나무】
경복궁 지도 14아지랑이 속에 펼치는 붉은 보랏빛 꽃묶음의 향연 | 박태기나무 18샛노란 꽃 함부로 꺾다가는 | 매자나무 22이보다 큰 잎사귀는 없다 | 참오동나무 26살아서 못 먹은 밥, 죽어서라도 배불리 먹거라 | 이팝나무 32달나라의 그 계수나무일까? | 계수나무 36청초한 꽃 그러나 공해에도 잘 견딘다 | 때죽나무 40세종대왕께서 즐겨 잡숫던 | 앵두나무 44천 년을 견디는 | 은행나무 48숲 속의 보디빌더 | 서어나무 56남자에게 좋다는 산수유, 임금님도 드셨을까? | 산수유 60나를 먹을 수는 없을걸 | 화살나무 64도깨비가 사는 집 | 왕버들 68늘어진 모습을 보고 사람들은 춤을 춘다 | 능수버들 72가장 흔하고 널리 쓰였던 | 버드나무 76놀란 배비장, 피나무 궤짝으로 뛰어들다 | 피나무 82밤보다 더 달고 고소하다 | 개암나무 86별주부가 처음 만난 나무 | 조팝나무 90갯바람 소리를 즐기는 “팽~”나무 | 팽나무 94진짜 나무는 나 참나무眞木외다 | 참나무 98참나무의 대표 선수 | 상수리나무 102굴피집의 지붕은 이것으로 덮는다 | 굴참나무 106이름처럼 작게 자라지는 않는다 | 졸참나무 108진짜 가을의 참나무 | 갈참나무 110힘겹게 오른 산 정상에서 만나는 참나무 | 신갈나무 112떡 찔 때 요긴했던 | 떡갈나무 114밤을 환히 밝히는 | 쉬나무 116모래사장을 밟고 바다를 바라보며 자라는 | 해당화 120가을에 보랏빛 구슬을 조롱조롱 달고 서 있는 | 좀작살나무 124벌과 나비에게 외면당하는 “큰접시꽃나무” | 불두화 128나그네의 충실한 길라잡이 | 시무나무 132정자나무에서 ‘밀레니엄 나무’까지 | 느티나무 136우리나라 토종 옻나무 | 개옻나무 142줄기에 돋는 가시가 더 귀하다 | 주엽나무 146비단을 두른 듯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 병꽃나무 150무리 지어 피기 때문에 더 아름답다 | 개나리 154수천 그루씩 모여 살아 더욱더 위용을 자랑하는 | 전나무 158가냘픈 병아리처럼 앙증맞구나 | 병아리꽃나무 164만주 벌판의 신목 | 비술나무 168세 알만 있으면 한 끼로 거뜬한 | 대추나무 172봉황이 깃든다는 | 벽오동 178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쓸모도 많은 | 자작나무 182닥나무와 함께 껍질 벗겨 한지 만들던 | 꾸지나무 188화려한 금관의 관식冠飾 같은 황금빛 꽃으로 | 모감주나무 192개오동을 꼭 닮은 친척 나무 | 꽃개오동 196
Chapter 2【창덕궁의 우리 나무】
창덕궁 지도 202선비의 절개를 지켜주는 마음의 지주 | 회화나무 206군자의 기상, 소나무와 같다 | 측백나무 212땅에 묻어 더한 향을 얻으려 한 | 향나무 216먹을 수 있는 진짜 꽃 ‘참꽃’ | 진달래 222꽃은 봄바람을 불러오고 열매는 병마를 쫓는 | 매화나무 226오로지 우리나라에만 있는 | 미선나무 232까치밥으로 남길 만큼 풍성했던 | 감나무 236살아 천 년, 죽어 천 년 | 주목 242누에는 뽕잎을 먹고 연인들은 사랑을 나눈다 | 뽕나무 246알밤 없는 가을은 상상할 수 없다 | 밤나무 252물을 푸르게 하는 | 물푸레나무 258꽃은 달빛에 비추고 열매는 이태조의 화살에 떨어지다 | 돌배나무 262
Chapter 3【창경궁의 우리 나무】
창경궁 지도 270그 연분홍 꽃에 취하지 않을 재간이 없다 | 복사나무 274무궁이란 이름으로 무궁하길 바란 것일세 | 무궁화 282평강공주와 온달장군의 운명적인 만남 | 느릅나무 286나그네의 길라잡이, 오리마다 만나는 | 오리나무 290산꼭대기에서도 아름다운 | 마가목 294임금님의 관에 쓰인 품격 높은 나무 | 가래나무 298이제는 후계목이 뒤를 잇는 아름드리나무 | 황철나무 302숲 속의 봄은 나로부터 | 생강나무 306봄에는 하얀 꽃, 가을에는 빨간 열매가 보기 좋은 | 산사나무 310적송이라 부르지 마세요 | 소나무 314굶는 날이 많아지면 국수로 보이던 | 국수나무 324내 피부는 봄바람에 가장 민감해요 | 목련 328숲 속의 무법자, 그 이름 ‘폭목’ | 층층나무 332숲 속의 은둔자 그러나 조각재의 왕 | 다릅나무 336아홉 마리 용에서 구름나무까지 | 귀룽나무 340샛노란 속껍질은 약이 되고 항균·방충 효과까지 | 황벽나무 344느리게 자라도 쓰임새는 귀하다 | 회양목 348죄인을 탱자나무 울타리 안에 가두어라 | 탱자나무 354넓은 쓰임새가 도리어 화가 되었구나 | 비자나무 358때로는 화살대로, 때로는 복조리로 | 조릿대 364솜사탕처럼 살살 녹는 신토불이 바나나 | 으름 368오해 마세요, 부처님의 보리수는 아니랍니다 | 보리수나무 372제 이름은 순수한 우리말이랍니다 | 히어리 376이름 없이 수천 년을 자라던 | 고추나무 380수레에 가득한 금보다도 귀하다 | 오갈피나무 384다래는 다래, 키위는 키위다 | 다래 388가을에 그 붉은 열매를 봐야 | 팥배나무 394흰 얼룩무늬 소나무 | 백송 398귀신은 쫓아내고 행운은 가져오는 | 음나무 402껍질이 종이처럼 벗겨지는 | 물박달나무 406오매 단풍 들것네 | 단풍나무 410성스러워 보일 만큼 맑은 속을 지닌 | 산딸나무 416북한의 국화는 저예요 | 함박꽃나무 420
Chapter 4【덕수궁의 우리 나무】
덕수궁 지도 426맛있는 잣이 달리는 우리나라 특산 나무 | 잣나무 428부부 금슬을 상징하는 | 자귀나무 434달콤한 향기로 첫사랑을 떠올리게 하는 | 라일락 438화려하게 피었다가 한순간에 져버리는 | 왕벚나무 442예쁘지만 매화는 아니랍니다 | 황매화 448생울타리로 쓰이기 위해 태어났다 | 쥐똥나무 452“그랬으면 좋겠다, 살다가 지친 사람들…” | 사철나무 456싸리보다 더 싸리 같은 | 광대싸리 460번창하고 또 번창하기를 소망한다 | 말채나무 464선비님들 너무 미워하지 마세요, 우리도 먹고살자니… | 등나무 468오얏이란 이름으로 불리던 이李씨의 나무 | 자두나무 472오해 마세요, 백 일 동안 혼자만 피어 있지 않아요 | 배롱나무 478네덜란드에서 고종에게 보낸 선물? | 마로니에 482무엇이든 만들 수 있고 어디에나 쓸 수 있는 | 싸리 486“우선 살구보자” | 살구나무 490여왕이 선물받은 아름다운 여인의 표상 | 모란 494아가씨가 바람난다는 아가씨꽃 | 명자꽃 500그윽한 향기로 못생긴 생김새를 뛰어넘는 | 모과나무 504신라 최고의 미인 수로부인이 꺾어달라던 | 철쭉 508부석사 조사당 앞 비선화의 수난사 | 골담초 514
찾아보기 518

책소개‘팽나무란 나무를서울에서 볼 수 있을까?’조선 4대 궁궐을 거닐며우리 나무와 마주하다
서울 한복판 궁궐에서 우리 나무와 만나도록 안내하는 책. 궁궐 전각과 관람로 주변 주요 나무의 이름을 꼼꼼히 표시한 ‘궁궐 나무지도’와 생생한 사진으로 궁궐 곳곳에 자라는 우리나라 대표 나무 109종과 직접 만나게 하면서, 나무의 생태는 물론 역사·문화까지 한 권에 담아 소개한다. 딱딱한 식물용어도 쉬운 우리말로 다듬고, 흥미로운 이야기를 따라서 나무와 친해질 수 있는 점도 특징. 출간 22주년을 맞아 전면 개정신판으로 돌아왔다.
궁궐은 우리 역사의 현장이자 다양한 아름드리나무를 손쉽게 만날 수 있는 곳이다. 나무 문화재 연구에 평생을 바친 지은이는 나무마다 흥미로운 식물학적 특징에 주목하는 한편, 수많은 고서에서 직접 찾아낸 나무 이야기를 전한다. 나무의 생김새와 식물학적 특징을 고스란히 전하는 사진도 충분히 담아 나무 도감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번 개정3판은 9년 사이 변화한 궁궐 상황을 다시 충실히 반영하고 편의성을 개선하는 데 집중했다. 기존 실물 나무가 사라진 수종은 되도록 다른 실물 나무를 새로 선정하고 촬영하여 담았다. ‘궁궐 나무지도’는 전수조사하고 지도 안 글씨를 키워 정확도와 편의성을 높였다. 책의 내용 역시 새로 발견된 자료를 추가하거나, 시간이 지나면서 바뀐 내용을 반영하였다. 곁에 두고 나무가 생각날 때마다 이 책을 꺼내보자.


출판사 리뷰109종 나무가 자리한 도심숲, 궁궐도시 한복판에서 나무와 직접 만나보자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통해 팽나무란 낯선 나무 이름을 처음 들어본 사람이 많을 것이다. 드라마에 소개된 팽나무 고목은 경남 창원에 있고, 팽나무는 도시에서는 보기 어렵다. 그러나 수도권에도 팽나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특산식물인 미선나무 등 우리나라 대표 나무 109종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공간이 있다. 바로 조선 궁궐이다.
《궁궐의 우리 나무》는 초심자가 나무를 힘들여 찾지 않아도, 깊은 산과 먼 수목원으로 떠나지 않아도 나무와 친해질 방법을 고심한 끝에 출간됐다. 임금의 거처인 궁궐은 우리 선조들이 나무를 수없이 심어왔고, 오늘날도 여러 고목과 조경수가 한데 모여서 쉽사리 변치 않는 곳이다. 이 책과 함께라면 실제 나무를 찾아 정처 없이 헤맬 필요가 없다. 경복궁·창덕궁 등 조선 궁궐 어디에 어떤 나무가 자라는지 지도에 상세히 표시했기 때문이다.
또한 그 수종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아름드리나무의 전체 모습뿐 아니라 꽃, 잎, 줄기 등 각 부위의 사진으로 담았다. 책만 읽으며 궁궐을 거니는 것만으로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나무 대부분을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다.
초심자를 위해 ‘상록침엽교목’과 같은 전문어는 ‘늘푸른 바늘잎 큰키나무’로, ‘우상복엽’은 ‘깃꼴겹잎’과 같이 용어를 다듬었다. 각 나무마다 특이한 구석과 이름의 유래부터 쓰임새, 얽힌 일화, 역사적인 기록 등 다양한 이야기를 전하는 저자의 해설은 궁궐 나무산책을 더욱 풍성하게 이끈다.
더욱 가깝고 의미 있게 느껴진다역사와 문화로 만나는 우리 나무
궁궐은 나무가 오늘날까지 우리와 어떻게 함께해 왔는지 듣기 딱 좋은 곳이기도 하다. 조선 임금들의 유별난 나무 사랑이 서린 현장이기도 하고, 나무와 더불어 산 옛사람들의 삶을 가만히 떠올리기 적당한 곳이다. 연산군이 모란을 각별히 챙겼다고 들으면 모란의 아름다움에 더 눈길이 가고, 초라해 보이는 꾸지나무·닥나무도 한지 원료가 되는 그 나무껍질 없이 우리의 유구한 인쇄문화가 없었으리라 알면 한결 소중하게 느껴진다. 원래는 ‘이밥(쌀밥)나무’였던 이팝나무의 이름 유래는 수북한 흰 꽃의 감상을 단번에 바꾸기도 한다. 나무를 더 쉽게 기억하고 떠올릴 수 있게 되는 건 덤이다.
60여년 동안 나무를 연구해온 지은이 박상진 교수는 나무 고고학 분야의 국내 최고 권위자이다. 해인사 팔만대장경판과 무령왕릉 관재 등 나무 문화재를 연구해왔으며, 우리 선조들이 나무와 어떻게 더불어 살아왔는지를 공부하고 소개해왔다. 《궁궐의 우리 나무》에도 역시 지은이가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삼국사기》 등 역사서와 시가집·의서·농서·중국 고서·문헌설화까지 망라해 고문헌에서 찾은 나무들의 유래·역사·문화 이야기가 알차게 실려 있다.
그 열매를 세종에게 바치기 위해 효자 문종이 자신의 처소에 심었던 앵두나무, 먼 길 가는 나그네의 길잡이가 되었던 오리나무와 시무나무, 그 몸을 통째로 기둥으로 내어줘 부석사 무량수전의 기둥이 되어준 느티나무, 그 속살로 민초들의 굶주림을 면하게 해줬던 느릅나무 등의 이런 사연을 알게 되면 그냥 지나쳐 왔던 나무들을 다시 생각해보게 될 것이다.
궁궐에서만 만나는 특별한 나무들역사를 함께한 아름드리 고목의 사연
한편 궁궐의 특정한 장소에서 ‘○○궁의 ○○나무’로 불리는 이름 있는 나무도 《궁궐의 우리 나무》와 함께 만나볼 수 있다. 많지는 않지만 궁궐에는 아직도 수백 년을 살아오며 역사의 현장을 목격했던 나무들도 여러 그루 남아 있다.
오늘날 궁궐의 여러 나무 중 가장 나이가 많은 나무는 ‘창덕궁 봉모당 향나무(천연기념물 제194호)’다. 궐내각사의 규장각 뒤 봉모당 뜰 앞에 선 이 나무는 약 750년 세월을 살아온 것으로 추정되는데, 조선 순조 연간에 그려진 〈동궐도〉에도 그려져 있다. 창덕궁에는 역사성을 인정받은 천연기념물 나무(혹은 무리)만도 네 개다.
창경궁에는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어갔을 그 때도 바로 그 현장 주변에 서 있었을 회화나무 두 그루가 남아 있다. ‘선인문 앞 회화나무’와 ‘명정전 남행각 앞 회화나무’다. 이 두 회화나무도 〈동궐도〉에도 크게 그려져 있어서 그 비극의 현장을 목격했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궁궐 은행나무 중 가장 크고 오래된 창덕궁 존덕정 은행나무, 나이는 70살 남짓하지만 아름드리로 자라 봄이면 꽃으로 뒤덮는 덕수궁 석어당 살구나무, 덕수궁 석조전 완공 당시 심어 100년이 더 된 마로니에(가시칠엽수) 등 고궁에서 볼 수 있는 것이 문화유산뿐만이 아님을 알 수 있다.
22주년을 맞은 스터디셀러정확도와 편의성을 높인 개정신판!
○ 전면 재조사하고 글씨를 대폭 키운 ‘궁궐 나무지도’○ 궁궐 변화를 반영한 대표 실물 나무 재선정○ 현재 모습을 담은 새 촬영 사진 수록
2001년 처음 선보인 《궁궐의 우리 나무》는 서울 한복판 궁궐에서 나무를 만날 수 있도록 안내해 많은 독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22년의 시간이 흐르는 사이 새로 밝혀진 사실도 있고 궁궐의 나무도 변했다. 2014년 개정2판은 초판에 제외했던 외래종도 이미 우리에게 친숙하거나 나름의 사연이 있으면 포함하고, 식물학적 특징을 상세히 기술해 간이 수목도감으로도 충분히 이용할 수 있게 했다. 2023년 개정3판은 9년 사이 변화한 궁궐 나무 상황과, 새로 밝혀진 사실들을 충실히 반영하는 데 집중했다. 꾸밈새는 편의성을 높이고 오늘의 감각에 맞춰 새로이 바꾸었다.
우선 궁궐 나무 현황을 전면 재조사했다. 조사 결과를 반영해 궁궐 나무지도의 정확도를 높이고, 독자층의 고령화도 감안해 궁궐 나무지도의 글씨 크기도 대폭 키웠다. 경복궁과 창덕궁의 지도는 실제 방위와 맞춰 실어 답사 시 편의성도 높였다. 또한 모습이 많이 변한 실물 나무는 새로 촬영했다.
한편 궁궐 나무 현황 재조사 결과, 궁궐에서 직접 찾아가 볼 만해 전체 모습 사진을 싣고 소개했던 기존의 실물 나무가 사라지거나 쇠락한 수종이 있었다. 이 경우 가능한 다른 아름드리 실물 나무를 선정하고 새로이 촬영했다. 불가한 수종도 있어 114종에서 109종으로 줄었지만 사실상 궁궐에 자라는 나무 전부를 이 한 권으로 볼 수 있다는 점은 변함없다. 직접 소개하는 나무 외에도 짤막하게 소개하는 나무까지 합치면 거의 300종이 넘는 나무들이 언급되니 우리 주변 나무 거의 전부를 이 책에서 만날 수 있는 셈이다.


저 : 박상진 (朴相珍)
1963년 서울대학교 임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교토대학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산림과학원 연구원, 전남대학교 및 경북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한국목재공학회 회장, 대구시청 및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을 역임했다. 2002년 대한민국 과학문화상, 2014년 문화유산 보호 유공자 포상 대통령표창, 2018년 롯데출판문화대상 본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청와대의 나무들』, 『청와대의 나무와 풀꽃』, 『우리 나무 이름 사전』, 『궁궐의 우리 나무』, 『나무탐독』, 『우리 나무의 세계』Ⅰ·Ⅱ, 『우리 문화재 나무 답사기』, 『나무에 새겨진 팔만대장경의 비밀』, 『역사가 새겨진 나무 이야기』를 비롯하여 아동서 『오자마자 가래나무 방귀 뀌어 뽕나무』, 『내가 좋아하는 나무』가 있다. 해외 출간 도서로는 『朝鮮王宮の樹木』, 『木刻八万大藏?的秘密』, 『Under the Microscope: The Secrets of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등이 있다.
* 출처 :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3800529>

이전글 미생물의 법정
다음글 궁궐의 고목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