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농업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게시판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발명교실 게시판입니다.
연기에서 나온 빛
작성자 주재석 등록일 22.02.03 조회수 11
첨부파일

   석탄 가스가 발견되기 이전부터 큰 도시의 특별히 중요한 거리에 적당한 등불을 가설하여 조명하려고 하는 노력이 되풀이되었다. 예컨대 14세기 초에 런던시장이 핼로타이드나 캔들바스 사이에서는 겨울에 매일 밤 집 주인이 가로에 등을 매달라고 명령한 기록이 있다. 이 세기 무렵에는 경험상 야간에 가로를 조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분명하였다. 도둑이나 그 밖의 다른 나쁜 궁리를 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어두운 가로가 매우 좋은 사냥터가 된다는 이유 때문이기는 했지만.

   1668년과 그 수년 뒤에 또 한 번 런던시민들은 이 낡은 명령이 있다는 사실을 상기해야 했다. 명령은 널리 지켜지지 않았던 것 같다. (또는 아마 등이 충분한 빛을 내지 않았을 것이다) 그것은 1716년이 되어서 시의회가 뒷골목이거나, 큰 거리를 막론하고 길가에 있는 집주인들은 모두 매일 저녁 6시부터 11시까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불을 켠 등을 매달아야 한다고 명령하고 이에 위반하면 1실링(당시로써는 매우 큰 금액)의 벌금을 물게 한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많은 집주인은 이 명령에 따르기는 했지만, 일부러 램프를 켜지 않고 커튼을 드리우지 않은 채 방안의 기름 램프의 빛이 길가를 비추도록 하는 데 그쳤다.

   수년 후에 시 당국은 비로소 중요한 길가의 몇 군데에 기름 램프를 세워서 조명했다. 그러나 이들 램프의 빛은 오늘날의 가로등과 비교하면 비교도 안 될 만큼 어두웠다. 그러므로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길을 밝혀주는 소년을 고용해서 불을 켠 초롱을 들고 앞을 비추며 걷도록 했다.

 

   클레이턴, 타는 가스를 발견하다

 

   가스를 등불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재미있는 발견은 1739년에 이루어졌다. 이해 겨울에 존 클레이턴이라는 목사가 랭커셔의 와이건에서 3km 떨어진 길가의 시궁창 물이 타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목격했다. 이 물은 브랜디처럼 탔다.라고 그는 쓰고 있으며 불꽃은 그 위에서 달걀을 삶을 만큼 센 것이었다고 덧붙이고 있다.

   마을 사람들은 시궁창 물에 특별한 종류의 물질이 섞여 있다고 생각했으나 목사 클레이턴은 이 사람들보다 더 지식이 많았으므로 마을 사람들을 설득해서 시궁창의 물을 마르게 하고 밑바닥의 지면을 파 내려갔다. 드디어 그의 말에 의하면 지면에서 어떤 기()가 솟아 나왔다.이 기는 지면에 파묻혀 있는 석탄층에서 방출되는 가스였다.

   그는 이 가스를 많은 소의 방광에 넣었다고 한다. 친구들을 흥겹게 해주려는 생각이 나면 이 방광 중에서 한 개를 집어 들고 바늘로 구멍을 뚫고 촛불 곁에서 그것을 천천히 눌렀다. 구멍에서 밀려 나온 가스에 불이 붙어 방광 속에서 가스가 남김없이 밀려 나올때까지 계속 타는 것이었다.

 

이전글 위대한 나의 발견 강점혁명
다음글 천재의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