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농업사상의 똥 생태학 |
|||||
---|---|---|---|---|---|
작성자 | *** | 등록일 | 22.07.12 | 조회수 | 19 |
동아시아 농업사상의 똥 생태학
목차들어가는 말 4 일러두기 12 제1부 고대 중국 분뇨시비의 출현과 확산 19 제1장 동아시아에서의 분糞의 의미와 그 효용성 21 I. 머리말 21 II. 분糞의 의미와 그 변천 23 1. 시대별 분의 의미와 그 변천·23 2. 수도작의 발달과 인분·31 3. 똥오줌 시비의 확대와 조선·39 III. 측간과 똥 44 1. 측간의 역사와 똥·44 2. 한국과 일본의 측간구조·56 3. 측간의 역할·63 Ⅳ. 똥에 대한 인식과 똥거름의 효용성 67 1. 삼재三才사상과 똥오줌·67 2. 똥거름의 시비와 분糞의 효용성·73 Ⅴ. 맺음말 79 제2장 쇠두엄에서 인분人糞 시비의 확대 81 I. 머리말 81 II. 『제민요술』 쇠두엄법[踏糞法]의 출현 배경과 분전糞田 83 1. 쇠두엄의 생산과 재료·83 2. 쇠두엄의 시비 작물과 출현 배경·90 III. 송대 분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지력상신장地力常新壯’론의 등장 98 1. 『진부농서』의 거름 제조와 분옥糞屋, 분약糞藥·98 2. ‘지력상신장’론·106 Ⅳ. 당송대 시비의 발달과 도맥 윤작 110 1. 밑거름에서 덧거름의 확대·110 2. 채소[瓜菜] 중심에서 벼·밀·뽕나무[稻麥桑] 재배를 위한 시비·113 3. 인분뇨人糞尿 시비의 확대·127 Ⅴ. 맺음말 132 제2부 송대 인분뇨의 정착과 명청비료의 특징 135 제3장 송대 이후 남방지역 분뇨비료의 정착과 지역화 137 I. 머리말 137 II. 송원대 인분뇨의 정착과 남방비료 140 1. 밭작물 비료의 계승과 논 비료의 체계화·141 2. 똥오줌의 저장법과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147 3. 비료형 살충제의 등장·156 Ⅲ. 명청시대 비료의 다양화와 지역화 158 1. 장강하류지역의 비료·161 2. 내륙지역의 비료·170 3. 동남해안지역의 비료·179 Ⅳ. 맺음말 189 제4장 명말청초 강남지역의 비료발달과 사회경제적 변화 195 I. 머리말 195 II. 명청시대 비료의 복합화와 과학화 197 Ⅲ. 강남의 대표적 비료: 똥오줌, 강바닥진흙 및 깻묵 214 Ⅳ. 『보농서』의 시비법과 똥오줌 225 Ⅴ. 비료시기와 노동력 232 Ⅵ. 양잠과 채소생산의 발달과 시비 244 Ⅶ. 맺음말 252 제3부 명청시대 농업환경의 변화와 융복합 금비의 출현 257 제5장 명대 강남지역 융복합 비료, 분단糞丹의 출현과 그 배경 259 I. 머리말 259 II. 명대 자분煮糞법과 곡분穀糞비료의 출현 261 1. 자분煮糞과 숙분법熟糞法·261 2. 곡분약穀糞藥의 조제법·267 Ⅲ. 융복합 비료의 출현과 그 배경 272 1. 분단의 제조법·272 2. 분단 출현의 배경·280 Ⅳ. 맺음말 292 제6장 분뇨 대용 금비金肥의 등장과 강남지역 노동자의 성장 297 I. 머리말 297 II. 강남지역의 비료와 콩깻묵[豆餠] 300 1. 밭작물과 콩깻묵·300 2. 논과 습지작물의 비료와 콩깻묵·309 Ⅲ. 콩깻묵의 비료시기와 방법 317 Ⅳ. 청대 강남지역 콩깻묵의 수급: 맺음말을 대신하여 323 제7장 분뇨 위생문제와 생태농업의 굴절 329 I. 머리말 329 II. 동아시아 분뇨 시비의 발생요인 331 Ⅲ. 도시화에 따른 분뇨 처리와 위생문제 340 1. 전근대 도시의 발달에 따른 똥 관리와 수급·340 2.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도시위생문제와 분뇨 처리 간의 모순·345 Ⅳ. 분뇨시비와 기생충 350 1. 분뇨와 기생충·350 2. 수전·양잠·채소업의 발달과 기생충의 확산·354 Ⅴ. 맺음말 364 제4부 동아시아 각국의 분뇨이용실태와 측신 369 제8장 조선시대 비료와 인분 371 I. 머리말 371 II. 조선시대 인분을 이용한 퇴비와 두엄[廐肥] 제조법 374 1. 초목에 직접 똥오줌을 섞어 퇴비 만드는 방법·376 2. 두엄을 퇴비화하는 방법·381 Ⅲ. 조선의 똥오줌비료와 두엄 390 1. 조선의 온돌과 재·390 2. 똥재[糞灰]와 숙분熟糞·395 3. 분종糞種·401 4. 똥재의 시비효과·406 Ⅳ. 똥오줌 수요의 확대와 인분의 가치 412 1. 똥오줌의 생산과 수집·412 2. 비료 이외의 인분의 용도·421 3. 중국과 한국의 똥오줌 시비·426 4. 똥오줌 시비와 그 효과·432 Ⅴ. 맺음말 439 제9장 근세 일본 인분뇨의 시비와 보급과정 443 I. 머리말 443 II. 근세 농서 속의 똥오줌의 확대와 인식변화 447 1. 전국 말 근세 초의 똥오줌에 대한 인식과 비료·447 2. 17·18세기 비료의 다양화와 인분시비의 확대·454 3. 19세기 똥오줌 효용성의 확대와 금비金肥의 다양화·468 Ⅲ. 도농都農 간의 분뇨 급취권汲取權과 거래 481 1. 에도[江戶]시대 분뇨 수거와 매매실태·481 2. 근세 일본과 관련해서 본 청대 소설 속의 분뇨 사업·498 Ⅳ. 맺음말 508 제10장 동아시아 측간구조의 변화와 측신 511 I. 머리말 511 II. 측간의 변천과 측신厠神의 등장 514 1. 고대 중국의 ‘혼?’·‘측厠’의 구조·514 2. 남송 이후 논농사의 발달과 측간구조의 변화·522 Ⅲ. 측신의 출현과 측간의 의미 529 1. 『형초세시기』의 측신과 측신신앙의 전파·529 2. 민담 속에 등장하는 측신과 측간·537 Ⅳ. 맺음말 548 결 론 동아시아 분뇨시비의 변천사 551 Contents 562 Abstract 568 中文摘要 578 참고문헌 584 찾아보기(Index) 599 역 : 최덕경
경남 사천 출생. 문학박사이며, 국립 부산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주된 연구방향은 중국농업사, 생태환경사 및 농민생활사이다.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객원교수와 북경대학 사학과 초청으로 공동 연구와 특임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책소개동아시아 농업의 가장 큰 특징은 인간이 매일 일정량을 배출하는 똥오줌을 폐기물이 아닌 농업비료로 이용하여 생산력을 증대시켜 수많은 인구를 부양했다는 점이다. 이 책은 왜 동아시아에서만 똥오줌을 농업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역사학적인 관점에서 검토해 보고자 한다. 기존의 분뇨에 관한 연구는 똥오줌을 여러 비료 중의 하나로 취급하였거나 인류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한 경우는 있었지만, 똥오줌에 대한 역사학적인 검토는 중국과 일본학계에서도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때문에 민간에서 측간이 언제부터 건립되고, 저류된 분뇨는 언제부터 이용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지혜를 갖게 된 사상·경제적 배경은 무엇이고, 분뇨의 가치와 효용성은 어떠했는가? 특히 근대화 이후 똥오줌이 자원에서 폐기물로 변한 배경이 무엇이었는지 등을 살핀 연구가 거의 없었다. 이 책에서 인분을 연구주제로 삼은 것은 역설적이게도 서양 학자들에 의해 자극받은 바가 크다. 20세기에 접어들면서 동아시아인들은 점차 조상이 발견한 자연친화적인 생태농업의 지혜를 이미 폐기처분하다시피 했지만, 서구의 몇몇 연구자들은 분뇨를 자원으로 재활용했던 아시아인들의 지혜를 경이로운 눈으로 보면서, 실제 그들 가정에서 똥오줌의 자원화를 실천하고 있다는 정보를 접했다. 이에 대한 자괴감으로 인분뇨의 실체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된 것이다.
|
이전글 | 말 16마리 대 공기 |
---|---|
다음글 | 기압계의 로맨스 |